본문 바로가기
육아정보

어린이집 가기 싫다는 아이, 이유와 해결법 총정리

by sajaping 2025. 8. 1.

어린이집 가기 싫다는 아이, 이유와 해결법 총정리 (육아전문가 조언 포함)

“엄마, 나 어린이집 안 갈래…”
아침마다 울고 떼쓰는 아이. 벌써부터 등원 전쟁이 시작되는 가정, 많으시죠?

아이의 ‘어린이집 등원 거부’는 단순한 고집이 아니라, 심리적 불안발달 특성, 그리고 환경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일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육아 전문가들의 조언발달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,
어린이집 가기 싫어하는 아이의 이유와 부모가 해줄 수 있는 해결법을 정리해 드릴게요.

 

🧠 왜 아이는 어린이집 가기 싫다고 할까?

1. 낯선 환경에 대한 불안감

아이는 일상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존재입니다.
처음 가는 어린이집은 선생님도, 친구도, 놀이도 다 낯설기 때문에 불안한 감정이 자연스럽게 올라올 수 있어요.

이임숙 소장(맑은숲아동청소년상담센터)
“아이는 말로 불안을 설명하는 대신 울음과 거부로 감정을 표현합니다.
이럴 때 부모가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 주고, 안전감을 주는 반복적인 루틴이 필요합니다.”

2. 분리 불안

특히 만 2~3세 전후에는 분리 불안이 정점에 이릅니다.
‘엄마랑 떨어지기 싫어’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.

서천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
“아이는 엄마가 사라지면 다시는 안 올 수도 있다는 불안을 갖습니다.
이 불안은 아이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과정이며, 꾸준한 반복과 신뢰 형성으로 극복됩니다.”

3. 등원 스트레스 누적

아침마다 서두르는 분위기, 옷 입기 전쟁, 밥 안 먹는 갈등 등은 아이에게 등원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만듭니다.
특히 전날 늦게 자고 아침이 피곤하다면 더 힘들어질 수 있어요.

 

👀 이런 말과 행동을 보인다면?

  • “엄마 배 아파…”, “나 감기 걸린 것 같아” 등 신체 증상 호소
  • 문 앞에서 울거나 도망가기
  • 어린이집 도착 직후 울음 폭발
  • 주말이 지나면 등원 거부가 더 심해짐

➡ 이런 모습이 두 달 이상 지속된다면, 적응이 어려운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 

👩‍👦 부모가 할 수 있는 5가지 대처법

1. “어린이집이 안전한 곳”임을 자주 알려주세요

“선생님이 너 기다리고 있어”, “친구랑 재밌는 놀이 하겠네!”
이런 긍정적인 언어를 반복적으로 들려주세요.

2. 헤어짐은 짧고, 확실하게

“엄마는 회사 갔다가 꼭 데리러 올게. 안녕~”
짧고 확신 있는 작별 인사를 연습해보세요.

3. 하원 후에는 꼭 안아주고 칭찬하기

“오늘 어린이집 다녀온 너 정말 멋져!”
한 마디 칭찬이 자존감 회복에 큰 힘이 됩니다.

4. 집에서 어린이집 놀이 해보기

‘선생님 놀이’, ‘점심 먹기’, ‘낮잠 자기’ 역할극 놀이로 루틴을 익숙하게 만들어주세요.

5. 등원 루틴을 부드럽게 만들기

  • 전날 일찍 잠자기
  • 아침에 좋아하는 음악 틀기
  • 아이가 선택할 수 있는 옷 준비

 

📝 마무리하며

어린이집 등원 거부는 대부분 일시적인 현상입니다.
아이의 마음을 먼저 읽고, 다정하게 공감하며 기다려주는 것이 가장 큰 해결책이에요.

억지로 보내기보다, 마음을 먼저 보듬는 육아가 진짜 힘을 발휘하는 순간입니다.
오늘도 힘든 아침을 이겨낸 모든 부모님,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! 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