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육아정보

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, 진단 기준과 가정에서의 조기 판별법

by sajaping 2025. 4. 17.

🧩 “혹시 우리 아이도?”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, 진단 기준과 가정에서의 조기 판별법

🍼 부모의 걱정으로 시작되는 이야기
아이를 키우다 보면 문득 불안한 마음이 들 때가 있어요.
"왜 또래보다 말을 늦게 하지?", "눈을 잘 안 마주치네?", "자꾸 손을 흔들고 같은 행동을 반복해…"
이런 생각들이 머리를 스치면 부모의 마음은 순식간에 무거워집니다.
‘혹시 우리 아이도 자폐일까?’라는 걱정은 아무도 대신 해줄 수 없는, 오직 부모만이 느끼는 깊은 고민이죠.

그렇다면, 자폐는 어떤 증상을 보이며, 어떻게 진단되고, 부모는 어떤 기준으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까요?
오늘은 공신력 있는 학술자료(논문)와 진단 지침(DSM-5, ICD-11)에 기반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 기준과 가정에서의 조기 판별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📚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?

자폐 스펙트럼 장애(Autism Spectrum Disorder, ASD)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제한된 관심/반복 행동이 핵심 특성인 신경 발달 장애입니다.
스펙트럼이라는 이름처럼 그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

🧠 참고 논문: Lord, C. et al. (2020). Autism spectrum disorder. The Lancet, 392(10146), 508–520.

 

🧠 진단 매뉴얼 기반 진단 기준

1️⃣ DSM-5 (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, 5th Edition)

  • 발병 시기: 3세 이전
  • 필수 항목: 아래 두 범주 모두 충족해야 함

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결함 (3가지 전부 충족)

  • 타인과의 감정 공유, 미소 등의 상호작용 부족
  • 눈맞춤, 손짓 등의 비언어적 소통 결함
  • 또래 관계 형성의 어려움

✔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(2가지 이상 충족)

  • 반복 행동 (손흔들기, 물건 돌리기 등)
  • 일상의 루틴 집착
  • 강렬하고 특정한 관심사
  • 감각 민감성 (빛, 소리, 촉감 등에 예민)

📖 출처: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. (2013).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(5th ed.).

2️⃣ ICD-11 (국제질병분류, WHO)

  • DSM-5와 유사한 기준으로 자폐를 신경발달장애로 분류
  • 사회적 상호작용과 행동 특성을 핵심으로 진단
  • 지적 장애 유무에 따른 구분도 반영

📖 출처: World Health Organization. (2022). ICD-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.

 

🏠 가정에서 가능한 조기 체크 포인트

부모가 조기에 아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 자폐 조기 개입의 첫 걸음입니다.

✅ 생후 6~12개월

  •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음
  • 눈을 거의 마주치지 않음
  • 웃음, 감정 표현 부족
  • 특정 소리에 유난히 민감하거나 무반응

✅ 생후 12~24개월

  • 말이나 제스처(손짓, 가리키기)가 적음
  •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고 혼자 노는 시간 많음
  • 장난감의 의도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 (예: 바퀴만 돌리기)

✅ 2세 이후

  • 역할놀이(상상놀이)를 거의 하지 않음
  • 또래와 함께 놀기를 기피
  • 반복적인 행동을 지속 (문 여닫기, 줄 세우기 등)

 

🔍 과학적 선별 도구 – M-CHAT-R/F

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– Revised with Follow-up

  • 대상: 16~30개월
  • 문항 수: 총 20개
  • 부모가 직접 체크하는 자가 진단 형식
  • 국내 주요 병원, 보건소에서 무료 배포/검사 제공

📖 논문 참고: Robins, D. L., Fein, D., Barton, M. L., & Green, J. A. (2009). The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: An initial study investigating the early detection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.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, 39(1), 1–12.
민감도: 91%, 특이도: 95%

 

🧩 자주 묻는 오해 정리

❌ "말이 늦으면 자폐일까?"
➡ 꼭 그렇지는 않아요. 언어 발달 지연은 흔한 현상이지만, 눈맞춤, 제스처, 감정 공유가 가능하다면 자폐 가능성은 낮습니다.

❌ "혼자 노는 걸 좋아하면 자폐야?"
➡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아요. 그러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회피하고 반복 행동을 동반할 경우 검토가 필요합니다.

 

🏥 진단이 필요하다고 느껴진다면?

자폐 의심 신호가 다수 보인다면, 반드시 전문 기관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.

추천 기관

  • 국립중앙의료원 발달클리닉
  • 서울대병원 아동발달센터
  • 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과
  • 각 지자체 아동발달지원센터 및 정신건강복지센터

 

🌱  부모의 직감은 틀리지 않아요

아이의 작은 신호를 감지하는 데 있어, 부모의 직감만큼 정확한 것은 없습니다.
자폐는 조기에 개입하고, 적절한 치료와 환경을 제공할 경우,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“설마 아닐 거야”라는 마음보다, “혹시 모르니 확인하자”는 자세가 아이의 더 밝은 미래를 만들어줄 수 있어요.